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식/어원 문학 시 역사

60갑자표 육십갑자 쉽게 외우는 법

by 하누혀누2 2025. 3. 4.

목차

    60 갑자표 육십갑자 쉽게 외우는 법

    육십갑자(六十甲子)는 동양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연도, 날짜, 시간 등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이는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의 지지(地支)를 조합하여 60년 주기로 반복되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해하면 육십갑자를 쉽게 암기할 수 있다.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이해

    천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총 10개로 구성된다.

    60갑자표

    지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총 12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요소가 순서대로 조합되면서 60개의 조합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육십갑자라 하고 이를 표로 만들어 둔 것을 60 갑자표 라고 한다.

    60갑자표

    60 갑자표의 순환 원리

    육십갑자는 천간과 지지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천간의 첫 번째인 갑(甲)과 지지의 첫 번째인 자(子)가 결합하여 "갑자(甲子)"가 된다. 이후 을(乙)과 축(丑), 병(丙)과 인(寅) 등의 방식으로 조합이 이어지며 60번째인 계해(癸亥)까지 순환한다.

    위 표 그림을 보다시피 세로축으로는 갑을병정 무기경신임계 10줄을 아래로 가로축으로는 6개를 내린 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차례대로 넣으면 60 갑자가 완성된다. 당연하게 10진수와 12진수의 최소공배수 60진수가 완성된 것이다.

    이러한 조합을 활용하면 연도뿐만 아니라 시간, 날, 월 등의 기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24년은 갑진(甲辰)년이며, 2025년은 을사(乙巳)년이 된다.

    육십갑자 쉽게 외우는 법

    육십갑자를 외우는 것은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몇 가지 규칙과 연상 기법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육십갑자 쉽게 외우는 법을 터득할 수 있다. 아니 그리고 닭도 120마리까지 동료를 기억한다는데, 사람이 60개 정도 기억 못해? 너 IQ에 문제있어? 이거도 못외우게?(드립입니다...)

    1. 천간과 지지를 따로 외우기

    천간 10개와 지지 12개를 먼저 독립적으로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간은 10개로 적은 편이므로 빠르게 익힐 수 있으며, 지지도 12개밖에 되지 않아 비교적 외우기 쉽다.

    2. 10과 12의 최소공배수 활용

    육십갑자는 천간과 지지가 최소공배수(LCM) 60을 기준으로 조합되는 형태다. 즉, 10번을 순환하는 천간과 12번을 순환하는 지지가 반복되면서 60가지 조합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를 이해하면 60 갑자의 배열이 자연스럽게 머리에 들어온다.

    3. 오행과 색상 연상법

    천간과 지지는 오행(五行)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를 활용하면 좀 더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 목(木): 갑(甲), 을(乙) → 초록색 연상
    • 화(火): 병(丙), 정(丁) → 붉은색 연상
    • 토(土): 무(戊), 기(己) → 노란색 연상
    • 금(金): 경(庚), 신(辛) → 흰색 연상
    • 수(水): 임(壬), 계(癸) → 검은색 연상

    이처럼 특정 색상과 오행을 연결해 기억하면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

    4. 의미 있는 조합으로 기억하기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처럼 처음 몇 개의 조합을 노래나 리듬을 활용해 익히면 기억하기 쉬워진다. 또, 특정한 해의 육십갑자를 떠올리면서 관련된 역사적 사건이나 개인적인 기억을 덧붙이면 더욱 효과적이다.

    5. 육십갑자표를 활용한 반복 학습

    육십갑자를 눈으로만 익히기보다는 직접 쓰면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노트에 천간과 지지를 조합해 적어 보면서 순서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또한, 육십갑자표를 출력해 책상이나 벽에 붙여놓고 자주 보면서 익숙해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6. 육십갑자를 활용한 놀이와 게임

    육십갑자를 외우는 데 게임 요소를 추가하면 더욱 흥미롭게 익힐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육십갑자를 빠르게 말하는 게임을 하거나, 특정 연도의 육십갑자를 맞히는 퀴즈를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육십갑자의 활용

    1. 연도 계산

    육십갑자는 연도 계산에 자주 활용된다. 예를 들어, 2024년이 갑진(甲辰)년이라면, 60년을 더하면 2084년 역시 갑진년이 된다. 과거 연도를 알아볼 때도 유용하다.

    2. 사주명리학과 풍수

    육십갑자는 사주(四柱) 명리학에서 중요한 요소다. 사람의 생년월일을 육십갑자로 변환하여 성격, 운명, 궁합 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풍수학에서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3. 전통 달력과 역사 기록

    과거의 연도를 기록하는 방식 중 하나로 육십갑자가 활용되었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임진왜란(壬辰倭亂), 병자호란(丙子胡亂)처럼 사건명이 육십갑자로 표기된 사례가 많다.

    4. 시간 및 방향과의 관계

    육십갑자는 연도뿐만 아니라 시간과 방향을 나타내는 데도 활용된다.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특정한 갑자는 특정한 방향이나 시간대와 연관이 있으며, 이를 통해 길흉을 판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다.

    결론

    육십갑자는 단순한 연도 표기가 아니라 동양의 철학과 사상이 담긴 중요한 체계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천간과 지지를 개별적으로 익히고 오행과 색상을 활용한 연상 기법을 활용하면 쉽게 암기할 수 있다. 또한 연도 계산, 사주명리학, 전통 달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므로 익혀 두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