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식/어원 문학 시 역사

풍양 조씨 항렬표: 평장사공파, 상장군공파, 전직공계, 호군공파, 회양공파, 금주공파 돌림자

by 하누혀누2 2024. 5. 25.

목차

    풍양 조씨 항렬표: 전직공계, 호군공파, 회양공파, 금주공파, 평장사공파, 남원공파, 상장군공파 돌림자

    풍양 조씨(豐壤 趙氏) 역사

    풍양 조씨의 시조인 조맹은 후삼국시대 신라 풍양현에서 태어나, 천마산 기슭 바위동굴에서 난세를 피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후고구려 군을 이끌고 후백제와 전쟁 중이던 왕건이 전투에서 패하고 도망쳤습니다. 영해 지방에서야 한숨 돌린 왕건은 군사회의를 열었고, 풍양현에 숨어 사는 '바우도사'의 지혜를 빌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왕건은 직접 찾아가 조맹을 책사로 삼았으며, 고려 건국 후 왕건은 조맹에게 '조(趙)'라는 성과 '맹(孟)'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습니다. 조맹은 삼한개국공신 3등에 이름을 올리며 조 씨 가문의 시조가 되었습니다.

    풍양조씨 시조 시중공 조맹 묘

    풍양 조씨의 계파 및 항렬표

    풍양 조씨는 크게 전직공계, 평장사공파, 상장군공파로 나뉩니다. 각 계파는 중시조 이전의 계대가 불분명하여, 계파 간의 항렬을 따질 수 없으므로 독자적인 항렬표(돌림자)를 사용합니다.

    전직공계(殿直公系)

    전직공계는 고려 중기 천화사전직(天和寺殿直)을 지낸 전직공(殿直公) 조지린(趙之藺)을 1세로 삼고 있습니다. 전직공의 6 세손인 대언공 조염휘의 자손대에 이르러, 3개의 파로 나뉩니다.

    • 호군공파(護軍公派): 조염휘의 장남 조사충(趙思忠)을 중시조로 삼습니다.
    • 회양공파(淮陽公派): 조염휘의 3남 조신(趙愼)을 중시조로 삼습니다.
    • 금주공파(錦州公派): 조염휘의 4남 조임(趙𥙛)을 중시조로 삼습니다.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 남원공파

    평장사공파는 고려 충렬왕 때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낸 조신혁(趙臣赫)을 1세로 삼고 있습니다. 과거 명칭은 남원공파였으나, 중시조의 증손인 남원도호부사 조계팽(趙季砰)의 후손이 현달하여 족보가 조계팽의 후손을 중심으로 편찬되었습니다.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상장군공파는 고려 중기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조보(趙寶)를 1세로 삼고 있습니다.

    풍양 조씨의 역사적 인물과 세도정치

    풍양 조씨는 조선 후기에 세도정치로 유명했습니다. 효명세자의 장인인 조만영과 그 아우인 조인영을 중심으로 안동 김 씨와 맞서 싸웠습니다. 조인영은 영의정에 오르며 외척의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습니다. 결국 헌종, 철종 등의 대를 잇는 과정에서 흥선대원군과 손잡고 안동 김 씨를 밀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풍양 조씨 항렬표

    풍양 조씨의 항렬표는 각 계파에 따라 다르며, 다음과 같은 돌림자를 사용합니다:

    전직공계(殿直公系)

    • 17세: 만(萬)◯
    • 18세: ◯년(年)
    • 19세: 희(熙)◯
    • 20세: ◯재(載)
    • 21세: 돈(敦)◯
    • 22세: ◯묵(默)
    • 23세: 병(柄)◯
    • 24세: 동(東)◯
    • 25세: ◯구(九)
    • 26세: 남(南)◯
    • 27세: ◯연(衍)
    • 28세: 성(誠)◯
    • 29세: ◯희(熙)
    • 30세: 용(鏞)◯
    • 31세: ◯신(新)
    • 32세: 중(重)◯
    • 33세: ◯규(揆)
    • 34세: 용(用)◯
    • 35세: ◯원(元)
    • 36세: 상(商)◯
    • 37세: ◯형(衡)
    • 38세: 무(茂)◯
    • 39세: ◯범(範)
    • 40세: 강(康)◯
    • 41세: ◯재(宰)
    • 42세: 종(鍾)◯
    • 43세: ◯주(湊)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 17세: 만(萬)◯
    • 18세: ◯년(年)
    • 19세: 희(熙)◯
    • 20세: ◯재(載)
    • 21세: 돈(敦)◯
    • 22세: ◯묵(默)
    • 23세: 병(柄)◯
    • 24세: ◯기(紀)
    • 25세: 강(康)◯
    • 26세: ◯규(揆)
    • 27세: 연(演)◯
    • 28세: ◯행(行)
    • 29세: 진(振)◯
    • 30세: ◯동(東)
    • 31세: 순(淳)◯
    • 32세: ◯경(卿)
    • 33세: 기(祺)◯
    • 34세: ◯성(成)
    • 35세: 창(彰)◯
    • 36세: ◯중(重)
    • 37세: 연(縯)◯
    • 38세: ◯직(稙)
    • 39세: 범(範)◯
    • 40세: ◯용(鏞)
    • 41세: 승(承)◯
    • 42세: ◯욱(旭)
    • 43세: 영(寧)◯
    • 44세: ◯무(茂)
    • 45세: 재(宰)◯
    • 46세: ◯정(程)
    • 47세: 태(兌)◯
    • 48세: ◯우(宇)
    • 49세: 건(建)◯
    • 50세: ◯보(輔)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 17세: 만(萬)◯
    • 18세: ◯년(年)
    • 19세: 희(熙)◯
    • 20세: ◯재(載)
    • 21세: 돈(敦)◯
    • 22세: ◯묵(默)
    • 23세: 병(柄)◯
    • 24세: 갑(岬)◯
    • 25세: ◯일(日)
    • 26세: 병(昺)◯
    • 27세: ◯종(宗)
    • 28세: 성(晟)◯
    • 29세: ◯기(玘)
    • 30세: 강(慷)◯
    • 31세: ◯상(庠)
    • 32세: 성(聖)◯
    • 33세: ◯채(蔡)
    • 34세: 진(陳)◯
    • 35세: ◯건(乾)
    • 36세: 천(遷)◯
    • 37세: ◯정(正)
    • 38세: 무(武)◯
    • 39세: ◯회(回)
    • 40세: 용(庸)◯
    • 41세: ◯신(薪)
    • 42세: 영(郢)◯
    • 43세: ◯규(葵)

    풍양 조씨는 각 계파별로 다양한 항렬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족보와 혈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각 항렬표는 세대를 구분하고, 조상의 이름을 기리며, 가문의 전통을 이어나가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풍양 조씨의 문화적 유산

    남양주시 천마산에는 조맹이 왕건과 만났다고 전해지는 현성암(見聖庵)이라는 유적이 있습니다. 조맹이 홀로 마셨다는 우물 '독정이' 인근은 '독정이'라는 마을 이름으로 지금까지도 남아있습니다. 이와 같이 풍양 조 씨의 유산은 현지 지명과 유적으로 남아, 후손들에게 중요한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풍양 조씨와 세도정치

    조선 후기, 풍양 조 씨는 세도정치에서 큰 역할을 했습니다. 효명세자의 장인 조만영과 조인영은 안동 김 씨와의 권력 다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조선 후기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풍양 조 씨는 흥선대원군과 함께 안동 김 씨를 밀어내고 권력을 쥐게 되었습니다.

    결론

    풍양 조씨의 역사와 항렬표는 그들의 계보를 잘 보여줍니다. 각 계파의 독특한 항렬표는 세대 구분과 전통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항렬표는 조 씨 가문 후손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며, 풍양 조 씨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반응형